전체 글 127

Java 연산자

연산자 단항 : 부호 증감 연산자 ex) x++ 이항 : 나머지 삼항 : 조건 연산자 ex) (sum>90) ? "A" : "B" 단항 연산자 부호연산자 short s = 100 short result = -s // 컴파일 에러 -> 부호 연산자 산출 타입 => int 증감연산자 ++,-- 피연산자 다른연산 수행하기 전 피연산자 ++,-- 다른 연산 수행한 후 * .class 파일은 -> Navigator 뷰 추가후 bin 폴더이 바이트 코드 파일 열어보기 비트 반전 연산자 byte v1 = 10 byte v2 = ~v1 // 컴파일 에러 --> ~ 연산자는 수행전 int 형으로 변환 ~v1 + 1; => -v1은 -11, -> 산출값 1 더하면 부호가 반대인 정수 얻음 산술 연산자 byte byte1 ..

톰캣 서버에서 데이터 소스, DB 설정

태그 에 설정한 file의 변경이 있을 다시 로드한다. 태그 name : JNDI 이름, Context에 lookup 을 사용하여 자원을 찾을 때 사용 auth : 자원 관리의 주체, Application / Container 지정 type : Resource 타입 패키지 이름을 포함한 클래스 이름 지정 driverClassName : JDBC 드라이버 클래스 이름 URL : 연결할 DB URL username : DB 사용자 이름 password : DB암호 maxActive : DataSource에 있는 커넥션 최대 갯수 (default = 8) maxIdle : DataSource에 사용되지않는 커넥션 최대갯수, 최대 유지 갯수 반납되는 커넥션은 close (default = 8) maxWait :..

Back-end/Spring 2021.07.13

Web의 동작과정

1. 브라우저(클라이언트)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일어난다 2.입력은 URI 를 따라 DNS 서버로 이동해 IP주소로 변환이 된 후 3. IP 주소로 요청을 보내는데 3way handshake 방식으로 과정을 진행 한다. 4. 이때 네트워크의 전달은 위와 같은 그림으로 OSI7계층에의해 IP에 맡는 mac 주소를 찾아간다. 5. 정적 파일들은 앞에있는 웹 서버에서 전달 해주고 6. 동적인 데이터들은 was를 이용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한뒤 데이터를 가지고 와 반환해준다

ORACLE DB의 내부 동작 과정

1. 유조 프로세스 SQL문을 입력 2. 서버 프로세스 SQL문 도착 3. 서버 프로세스가 SQL문에 있는지 Library cache에서 찾아봄 4. 실행 된적이 있다면 QEP(실행계획), Parse Tree 이용하여 SQL문 실행 5. 처음 실행시 parsing(구문분석) 시작 6. Data dictionary cache의 데이텅 정의, 통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SQL문이 적절한지 확인 후 QEP(실행계획),Parse-tree 만듬 7. Libary cache에 다음을 대비하여 저장 8. Parse-Tree와 QEP를 이용하여 SQL문 실행, 결과 PGA(Program Global Area) 가져온뒤 사용자프로세스에 반환 * SQL문은 Data Buffer Cache에서 실행되고, Data Buffer..

Back-end/DB 2021.06.13